우리 동네 키움 센터는 2018년부터 시작해서 많은 긍정적인 호응으로 더욱 많아진 혜택과 서비스로 2025년 바뀌어 진행됩니다.
주요 서비스로 서울형 아침 돌봄 키움센터로 아침 출근과 등교가 맞물린 시간에 돌봄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지원 사업입니다.
우리 동네 키움 센터가 무엇인지, 대상과 운영시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주요 사업인 서울형 아침 돌봄 키움센터가 무엇인지 운영시간과 대상, 신청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동네 키움 센터란?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 초등돌봄시설 ‘우리동네키움센터’가 올해 새 학기 시작과 함께 더 커진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새 학기부터 달라지는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주요 내용은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전 자치구 확대 정기돌봄 연장신청 절차 폐지 및 자동연장 도입이 되었습니다.
우리 동네 키움 센터 대상과 운영 시간
-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집·학교 10분 내 거리에 위치해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초등돌봄시설로, ’18년 4개소를 시작으로 ’25년 1월 말 현재 266개소가 운영 중입니다.
- 키움센터 정규 운영시간은 학기 중 13~20시까지이며, 방학 중에는 9~18시(융합형 8~20시)까지 운영합니다.
우리 동네 키움 센터 바뀐점
- 우리동네키움센터 정기돌봄을 이용하는 아동이 연장을 희망하는 경우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자동연장 되도록 편리하게 바뀌었습니다.
- 자동연장은 1학기 정기돌봄 이용 후 여름방학 학기 연장 신청시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 올해 25개 전 자치구로 아침돌봄 사업을 확대 시행함과 동시에, 재신청 절차 간소화 등 이용자 편의제공 및 초등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지속 마련해 가도록 예정 되어있습니다.
서울형 아침 돌봄 키움 센터란?
출근길에 초등학생 자녀를 맡기고 가면 돌봄선생님이 간식·숙제를 챙겨주고 등교 동행까지 해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됩니다.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는 이용 아동들에게 간식 지원 및 숙제 챙겨주기 등의 ‘돌봄지원’과 등교시간에 맞춰 돌봄교사와 함께 안전하게 학교까지 동행하는 ‘등교지원’을 하게됩니다.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는 출근과 아이 등교 준비가 맞물리는 등교 전 아침시간대 돌봄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서비스 입니다. 시는 지난해 5개 권역별(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동남권, 서남권) 각 2개소씩 총 10개소에서 시범 운영한 결과, 총 7,107명이 이용했으며 만족도도 4점 만점에 3.9점(평균값)으로 양육자들의 호응이 컸던 만큼 3월부터 서울 전역으로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서울형 아침 돌봄 키움 센터 운영시간과 대상, 신청 방법
- 우리동네키움센터 정규 운영시간 외 아침 2시간(오전 7~9시) 동안 추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키움센터 정기돌봄 이용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별도 비용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올해는 인근 학교 수, 학령인구(6~12세), 돌봄수요 등을 고려해 자치구별 1개소씩 공모를 통해 선정했으며(붙임1 참고), 추후 구별 추가 수요 등을 고려해서 필요시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각 자치구별 센터는 우리동네키움센터포털(http://icare.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센터로 문의하면 됩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연말 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방법과 바뀐 규정 한눈에 정리 (1) | 2025.02.22 |
---|---|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대상과 지원 내용, 신청 방법 (0) | 2025.02.21 |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 신청방법, 대상, 지원내용 한눈에 정리 (0) | 2025.02.20 |
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안경업체와 구입, 신청 방법 한눈에 정리 (0) | 2025.02.20 |
서울형 통합 돌봄 서비스 신청방법과 지원 한눈에 정리 (0) | 2025.02.20 |